아두이노 기본상식 (2) 직렬,병렬 옴의법칙 문제

2021. 7. 30. 13:04아두이노

앞서  옴의법칙 예제에서는 저항이 1개만 있었는데 실제 회로에서는 저항이 여러개인경우가 대부분입니다. 

이 때 저항이 어떻게 연결되어있냐에 따라 합성저항이 달라집니다. 이 때 '어떻게 연결되어있나'의  어떻게가

크게 직렬과 병렬로 나뉩니다. 

 

 

직렬연결 : 저항이 일렬로 연결되어있는 상태. 전체 저항 R=R1+R2+R3+....Rn이 됩니다.

 

출처:https://blog.naver.com/jamduino/220909628059

위 예제에서는 전체저항은 6Ω이고 따라서 전류는 옴의법칙에 의해 2A가 됩니다

 

 

병렬연결 :  도선이 나뉘어져있고 각 도선에 저항이 있는 상태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전체저항은 1/R=1/R1+1/R2+....+1/Rn 을 계산해서 구한다

 

 

출처:https://blog.naver.com/jamduino/220909628059

 

이 때 전체저항은 1/R=1/20+1/30          R= 20X30/20+30 =12Ω  이 됩니다.

 

이제  옴의 법칙 문제를 풀어봅시다.

 

옴의 법칙 문제  :  2Ω, 6Ω, 12Ω에 걸리는 전압을 구하시오.   빨강,파랑,초록 흐르는 전류의 양을 구하시오

 

 

 

 

※모든 전자부품은 전류가 흐르면서 동작을 합니다.  그리고 부품별로 감당할 수 있는 전류량이 정해져있습니다.

그래서 저항이 없이 부품을 연결 할 경우 전류가 높아져(∞) 부품이 타버리기때문에 아두이노 부품을 연결 할 때도

저항을 연결합니다.

※아두이노는 내부적으로 자체저항이 있어 전류가  ∞까지 높아지지는 않습니다만 너무 높은 전류는 제품의 수명을 

단축시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