아두이노(22)
-
아두이노 3색 RGB LED
3색 RGB LED는 한개의 단자안에서 R,G,B색의 비율을 조절해서 다양한 색을 표현 할 수 있는 LED입니다. 3색 RGB 단자는 R,G,B 핀과 1개의 공통 단자로 이루어져있습니다. 공통단자가 (-) 이면 Common Cathode, (+)이면 Common Anode라고 합니다. 단자의 외견만 봐서는 Cathode인지 Anode인지 판단 할 수가 없습니다. (구매하실 때 꼭 확인.....but 대부분은 Cathode, 우리도 Cathode) 그림에서 보듯이 가장 긴 핀이 공통단자입니다. 공통단자를 기준으로 2개 있는 쪽이 G,B 1개있는쪽이 R입니다. 실습 1 : 2초마다 빨강,초록,파랑색이 켜지도록 해보세요. (저항을 공통단자쪽에 설치하면 1개로도 충분합니다.) 더보기 int red=13; int..
2021.08.02 -
아두이노 스위치
지금까지 우리는 디지털 핀을 pinMode(pin번호, OUTPUT), 출력으로만 사용해봤다. OUTPUT이 있으면 INPUT도 있다. 디지털 핀을 입력으로 사용하는 대표적인 예가 스위치다. 스위치를 사용해 LED를 제어해보자. 아두이노에서 OUTPUT,INPUT의 의미 OUTPUT : 아두이노로부터 전격전압을 받음. 스케치 코드에 따라 5V(상태1) or 0V(상태0)를 단자로 전달 데이터가 아두이노 -> 단자 INPUT : 단자가 아두이노한테 전격전압을 줌. 데이터가 단자 - > 아두이노 회로상에서 사용자가 스위치의 버튼을 누르고 떼는 행위 등을 통해 INPUT핀에 5V(1)이 전달되면 HIGH, 0V(0)이 전달되면 LOW가 된다. 이를 소스코드에서 digitalRead(INPUT핀번호)로 읽을 수..
2021.08.02 -
아두이노 led제어하기
led는 긴쪽이 (+), 짧은 쪽이 (-)입니다. 전압이 높은 곳이 (+), 낮은 쪽이 (-). 전류는 (+)방향에서 (-)로 흐릅니다. 저항은 1kΩ을 사용합니다. 사용된 핀은 GND와 디지털핀 13번입니다. LED의 밝기는 LED에 흐르는 전류에 비례합니다. 아두이노의 디지털 핀 HIGH는 5V를 인가합니다. 아두이노의 디지털핀에서 GND까지의 회로의 총 전압은 5V입니다. 이 때 저항이 커진다면 LED의 밝기는 ? 저항이 작아진다면? 저항이 0에 가까워지면??? 저항을 바꿔가면서 led 밝기를 실험해 봅시다. 옴의 법칙 V=IR 기본적으로 LED자체에 저항이 있기때문에 전류가 ∞까지 가지는 않지만 허용전류를 넘어서거나 너무 큰 전류가 계속 흐르게 되면 소자가 타버립니다. 저항이 낮은 소자일 경우 항..
2021.07.30 -
아두이노 기본상식 (3) 저항읽기, BreadBoard,시리얼모니터
저항읽기 저항의 띠가 4개일 때 . 저항의 띠가 5개일 때 각자 가지고 있는 저항을 읽어봅시다. BreadBoard 사용법 먼저 빨간선과 파란선은 버스 띠(Bus Strip)이라고 불립니다. 각각 빨간색은 (+), 파란색은 (-) 전원 선을 연결해줍니다. 중간에 5개씩 연결되어있는 부분은 IC영역이라고 합니다. 이곳에 아두이노에 사용되는 소자를 연결해줍니다. 이 때 소자의 시작과 끝을 한 라인에 연결하면 안됩니다. 시리얼모니터 아두이노와 컴퓨터간 메세지를 주고받는 장치. 버스 =버스(영어: bus, 문화어: 모선)는 컴퓨터 안의 부품들 간에 , 또는 컴퓨터 간에 데이터와 정보를 전송하는 통로(통신 시스템) Serial= 직렬 Serial통신=직렬 통신,연속적으로 버스를 거쳐 한 번에 하나의 비트 단위로 ..
2021.07.30 -
아두이노 기본상식 (2) 직렬,병렬 옴의법칙 문제
앞서 옴의법칙 예제에서는 저항이 1개만 있었는데 실제 회로에서는 저항이 여러개인경우가 대부분입니다. 이 때 저항이 어떻게 연결되어있냐에 따라 합성저항이 달라집니다. 이 때 '어떻게 연결되어있나'의 어떻게가 크게 직렬과 병렬로 나뉩니다. 직렬연결 : 저항이 일렬로 연결되어있는 상태. 전체 저항 R=R1+R2+R3+....Rn이 됩니다. 위 예제에서는 전체저항은 6Ω이고 따라서 전류는 옴의법칙에 의해 2A가 됩니다 병렬연결 : 도선이 나뉘어져있고 각 도선에 저항이 있는 상태 전체저항은 1/R=1/R1+1/R2+....+1/Rn 을 계산해서 구한다 이 때 전체저항은 1/R=1/20+1/30 R= 20X30/20+30 =12Ω 이 됩니다. 이제 옴의 법칙 문제를 풀어봅시다. 옴의 법칙 문제 : 2Ω, 6Ω, 1..
2021.07.30 -
아두이노 기본상식 (1) 전압,전류,저항,옴의법칙
아두이노 기본 지식 전압 : 전압(Voltage) 또는 전위차(electric potential difference). 전위차란 글자 그대로 전기적인 위치(높이)의 차이입니다.'차이'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전압은 기본적으로 '두 지점'을 필요로 합니다.예를 들어 A지점의 전기적인 위치가 5이고,B지점의 전기적인 위치가 7이라면 A와 B 사이에 만들어지는 전압은 2가 되는 것입니다. 전류 : 전위차가 존재하는 두 지점 사이의 전기의 흐름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. 전위가 높은곳에서 낮은곳으로 흐릅니다.저항 : 전류를 방해하는 정도를 말합니다. 전압 : B=C > A > 바닥(0) 단순히 전류와 저항의 관계를 비교하기위해선 전압이 같을 때 비교해야하기때문에 전류,저항에서는 A대신 B,C만 비교..
2021.07.30